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노트북의 메모리(RAM)을 늘리는 소프트웨어적 방법

by happy-friend 2025. 3. 14.

노트북의 물리적인 RAM을 추가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메모리를 늘리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. 다만, 물리적인 RAM 업그레이드보다 성능 향상 효과는 제한적이지만, 일부 환경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
1. 가상 메모리(페이징 파일) 설정 변경

💡 원리:

  • Windows는 RAM이 부족할 경우 하드 디스크(HDD) 또는 SSD의 일부 공간을 가상 메모리(Swap, Pagefile.sys)로 사용합니다.
  • 기본적으로 자동 설정되어 있지만, 용량을 늘리면 성능 개선이 가능합니다.

🔹 설정 방법:

  1. Windows 설정 → 시스템 → 정보 → 고급 시스템 설정 클릭
  2. 고급 탭 → 성능 설정 → 고급 탭 → 가상 메모리 변경
  3. "모든 드라이브의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" 체크 해제
  4. 사용할 드라이브 선택 (SSD 권장)
  5. "사용자 지정 크기" 선택 후:
    • 초기 크기: 현재 RAM 용량의 1.5배 (예: RAM 8GB → 12GB)
    • 최대 크기: 현재 RAM 용량의 3배 (예: RAM 8GB → 24GB)
  6. 적용 후 재부팅

✅ 효과:

  • RAM 부족 시 시스템이 강제 종료되는 것을 방지
  • SSD 사용 시 HDD보다 효과적 (속도가 빠름)
  • HDD 사용 시 성능 저하 가능 (디스크 속도가 느리기 때문)

2. ReadyBoost 기능 활용 (USB 메모리 가상 RAM)

💡 원리:

  • USB 플래시 드라이브(USB 메모리)를 가상 RAM처럼 사용하는 기능
  • SSD가 있는 PC에서는 효과가 미미하지만, HDD를 사용하는 구형 PC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음.

🔹 설정 방법:

  1. USB 메모리 삽입 (최소 8GB 이상 권장)
  2. 파일 탐색기 → USB 드라이브 선택 → 우클릭 → 속성
  3. ReadyBoost 탭 클릭
  4. "이 장치를 ReadyBoost에 사용" 선택
  5. 가용 공간 조정 (RAM의 2~3배 권장)
  6. 적용 후 확인

✅ 효과:

  • 저사양 노트북에서 RAM 부족 문제 일부 해결 가능
  • SSD가 있는 경우 ReadyBoost 비활성화됨 (SSD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)

3. 불필요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종료

💡 원리:

  •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많을수록 RAM 사용량이 증가
  •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종료하면 RAM 사용량 절약 가능

🔹 설정 방법:

  1. Ctrl + Shift + Esc 눌러 작업 관리자 실행
  2. 프로세스 탭에서 메모리 사용량이 높은 항목 확인
  3.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선택 후 "작업 끝내기" 클릭

✅ 효과:

  • 메모리 점유율을 줄여 시스템 속도 개선
  • 웹 브라우저(Chrome, Edge)의 탭이 많으면 종료 권장

4. 시작프로그램 최적화

💡 원리:

  • 부팅 시 자동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줄이면 RAM 점유율 감소
  • 특히 보안 프로그램, 클라우드 동기화 앱(OneDrive 등)이 많으면 RAM을 많이 사용함.

🔹 설정 방법:

  1. Ctrl + Shift + Esc 눌러 작업 관리자 실행
  2. 시작프로그램 탭 이동
  3.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"사용 안 함"으로 변경
  4. 재부팅 후 확인

✅ 효과:

  • 부팅 속도 개선
  • 백그라운드 메모리 점유율 감소

5. 경량 브라우저 또는 메모리 절약 기능 활용

💡 원리:

  • Chrome, Edge 등 브라우저는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므로 RAM 절약 모드를 활용
  • 또는 가벼운 브라우저(Firefox, Brave 등)를 사용

🔹 Chrome/Edge 설정 방법:

  1. Chrome 주소창에 chrome://flags 입력 후 엔터
  2. "Tab Discarding" 기능 활성화 (사용하지 않는 탭 자동 정리)
  3. 설정 → 성능 → 메모리 절약 기능 활성화

✅ 효과:

  • 웹 브라우저 사용 시 RAM 점유율 감소
  • 다중 탭 사용 시에도 속도 저하 방지

6. Windows 기본 효과 줄이기

💡 원리:

  • 불필요한 시각 효과를 줄이면 RAM 및 CPU 점유율 절약

🔹 설정 방법:

  1. Windows 설정 → 시스템 → 정보 → 고급 시스템 설정
  2. "성능" 항목에서 설정 클릭
  3. "최적 성능으로 조정" 선택
  4. 필요한 항목만 다시 체크 후 적용

✅ 효과:

  • 구형 노트북에서 성능 향상
  • RAM 점유율 절감

7. 클라우드 기반 RAM 확장 (Cloud Paging)

💡 원리:

  • 일부 소프트웨어(SoftPerfect RAM Disk, eBoostr 등)는 클라우드를 활용해 RAM처럼 사용 가능

🔹 주요 프로그램:

  • SoftPerfect RAM Disk: 디스크 공간을 가상 메모리로 활용
  • eBoostr: ReadyBoost보다 발전된 캐싱 기능 제공

✅ 효과:

  • 인터넷 연결이 좋다면 빠르게 메모리 부족 문제 해결 가능
  • 하지만 클라우드 사용료가 발생할 수도 있음

📌 결론: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일까?

방법 효과 추천 대상

가상 메모리(Pagefile) 설정 ✅✅ 모든 PC
ReadyBoost (USB 메모리) HDD 노트북
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 종료 ✅✅ 저사양 PC
시작프로그램 최적화 ✅✅ 모든 PC
브라우저 메모리 절약 기능 인터넷 사용량 많은 경우
Windows 시각 효과 줄이기 저사양 PC
클라우드 RAM 활용 고속 인터넷 사용 가능 시

📌 최종 추천

  • RAM 업그레이드가 가장 확실한 해결책
  • SSD가 없다면 먼저 SSD 업그레이드 추천
  • 가상 메모리(Pagefile)와 시작 프로그램 최적화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